1위 고소공포증
인간은 태어날 때는
고소공포증이 없다
그러나 자라면서
고소공포증을 얻게 된다
높은 데서 추락하면
죽거나 다친다는
논리적인 이유 때문에
공포를 느낀다는 이야기이다
땅에서 12m 높이 올랐을 때
가장 두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알려졌다
2위 뱀 공포증(파충류)
매년 10만 명이
뱀에게 물려 죽는다
그러나 인간의 뱀 공포증 덕에
그나마 이 정도인 것이다.
뱀을 보고 두려움을 느끼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뱀 공포증이
인간의 생존과 연관된다고 한다
뱀을 재빨리 인식하고
두려움을 느끼는 것이
생존하는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3위 발언 공포증
매우 흔한 공포증으로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기가 힘들고
특히 대중 앞에서는
더욱 심해진다
치료를 받아야 할 만큼
심한 경우는 드물지만
미국에서는 1,500만 명이
발언 공포증을 앓고 있으며
그중 상당수가 치료를 받고 있다
4위 깊은 호수와 바다 공포증
속이 들여다 보이지 않는
깊은 심연을 보며
사람들은 공포를 느끼게 된다
물에 공포심을 느끼는 비율은
전체의 18% 정도이지만
그 깊이는 중요하지 않다.
유아는 수심 5cm의 물에도
익사할 수 있다
그리고 익사 사고 중 25%가
90cm 미만 수심에서 일어난다
5위 어릿광대 공포감
사람을 닮은 인형이나
영화에 나오는 인간로봇 등은
' 불쾌한 골짜기 효과 ' 에 따르는
공포심을 줄 수 있다
' 불쾌한 골짜기 효과 '는
사람들이
인간과 유사한 존재에
거부감과 공포를
느낀다는 이론이다
영화 '폴라 익스프레스'는
모션 캡처 기법을 사용해
배우의 표정과 행동을
현실적으로 구현한 작품이다
개봉 당시
극장에서 영화를 보던 아이들이
"너무 무섭다"며
울음을 터트리는 일이
종종 발생했다고 한다
무서운 장면이 아닌데도
아이들이 두려움을 느낀 이유는
바로 '불쾌한 골짜기 효과 ' 때문이다
6위 치과 공포증
치과 치료를 좋아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심한 치과 공포증을 겪는 사람은
어떠한 경우에도
의사를 만나려 들지 않는다.
전문가들은 치과 공포증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치과진료를 보다 편하게 받을 수 있는
방법을 만들어놓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진료 전 의사에게
‘내가 손을 들면
그 즉시 동작을 멈춰달라’고
말하는 것과 같이
자신이 두려울 때
피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해 놓는 것이다.
7위 개 공포증
개 공포증은
개를 무서워하고
개의 소리만 들어도
식은땀을 흘리는 등
개와 관련된 상황에서
극도의 공포를 느끼는 것이다.
오하이오 주립대학 심리학과
브래드 슈미트 교수는
“개에 물린 적이 있거나
타인이 개에 물리는 것을
본 경우에
개 공포증이 생긴다”고
말했다
8위 비행기 공포증
하늘을 날고 있다는 것에
대한 두려움,
비행기 추락이나
비행기 안에서 일어날 수 있는
위급상황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는 공포증이다
비행기 공포증이 있으면
비행기를 타기 힘들어진다
비행기 공포증을 치료하려면
비행 사고로 사망할 확률이
20,000분의 1 정도밖에
안 된다는 것
(자동차 사고로 죽을 확률은
100분의 1,
심장병으로 죽을 확률은
5분의 1)을 인식하자
9위 악천후 공포증
천둥, 번개 등에
두려움을 느끼는 것이다
실제로 상당수의
악천후 공포증 환자들이
날씨가 좋다고 알려진 지역으로
이사를 가기도 한다
미국 웨스펠드 교수는
“악천후 공포증을 치료하려면
불안, 공황상태를
대처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10위 어둠 공포증
상당수의 어린이들은
암흑에 공포를 느낀다
“아이들은 암흑 속에서
강도가 나타나 자신을 납치하거나,
누군가 나타나서
장난감을 빼앗아 갈 것이라고
상상한다”며
어른이 되어서도
암흑에 대한 공포가 심해지면
‘어둠 공포증’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조기에 치료해야 한다
11위 광장 공포증
넓은 장소 또는 어떤 장소에
혼자 가는 것이 두려워
다른 사람과 동행하려는
증상을 말한다.
광장 공포증은
사람들이 밀집한 장소
백화점, 공공장소, 엘리베이터, 다리 등
특정 장소에 있을 때
공포를 느끼는 것이다.
광장 공포증이 심해지면
집 밖으로 외출하지 않으려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12위 사회 공포증
사람들 앞에 나서는 것을
부끄러워하고
불안이 심해지는
증상을 뜻한다.
10대부터
성공에 대한 압박감을
많이 느끼는 40대까지
다양한 연령층에서 겪을 수 있다.
사람들 앞에서 말을 할 때
얼굴이 달아오르거나
얼굴에 땀이 솟고, 몸이 아픈 듯한
증상을 느끼는 것이다.
사회 공포증은
보통 13세 정도부터 시작된다
13위 거미 공포증
거미에 대해
극심한 공포를 느끼는 것이다.
거미 사진만 봐도
생명의 위협을
느끼기도 한다.
남성보다 여성이
거미에 대한 공포를
4배 정도
더 느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